대전 도시철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전 도시철도는 대전광역시의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1991년 건설 계획이 시작되어 1996년 1호선이 착공되었다. 1호선은 판암역에서 반석역까지 운행하며, 2006년 일부 구간이 개통되고 2007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현재 1호선 외에 2호선과 충청권 광역철도 건설이 계획되어 있으며, 2024년 9월 2호선 착공이 예정되어 있다. 대전 도시철도의 운임은 교통 카드와 일회용 토큰에 따라 다르며,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와의 환승 할인 제도가 운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 도시철도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은 대전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판암역부터 반석역까지 22개 역으로 구성되어 대전 시민의 주요 교통수단이며, 향후 세종시까지 노선이 확장될 계획이다. - 대전 도시철도 - 대전 도시철도 2호선
대전 도시철도 2호선은 대전광역시 5개 자치구를 순환하는 총 길이 38.8km의 노선으로, 2024년 9월 착공하여 2028년 12월 개통 예정이며 노면전차(트램)를 차량 시스템으로 사용하고 수소 트램 34편성이 운행될 예정이다. - 대전광역시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대전광역시의 철도 - 호남선
호남선은 대전에서 목포를 잇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 쌀 수송을 위해 건설되어 복선화 및 전철화 사업을 거쳐 KTX 운행과 호남고속선 개통으로 운행 시간이 단축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서대전~논산 구간 직선화 사업이 추진 중이다. - 대한민국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대전 도시철도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이름 | 대전 도시철도 |
로마자 표기 | Daejeon dosicheoldo |
한자 표기 | 大田都市鐵道 |
서비스 지역 | 대전광역시 |
운송 유형 | 도시 철도 |
노선 수 | 1 |
개업 | 2006년 3월 16일 |
운영자 | 대전교통공사 |
차량 | 현대로템 메트로 차량 |
시스템 길이 | 22.74 km |
궤간 | 1,435 mm (표준궤) |
![]() | |
웹사이트 | 대전교통공사 웹사이트 |
일일 승객 수 | 110,307명 (2019년) |
연간 승객 수 | 40,262,211명 (2019년) |
노선 정보 | |
노선 | 1호선 |
역 수 | 22개 |
기점 | 판암역 |
종점 | 반석역 |
기타 정보 | |
차량기지 | 판암 차량사업소 |
2. 역사
1991년 대전직할시에서 도시 철도 건설 계획이 검토되기 시작했다. 1996년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이 착공되었으며, 초기에는 5호선까지 계획되었으나 수요 예측 문제로 3호선까지 검토하는 것으로 수정되었다. 1호선은 2006년 3월 16일 판암역-정부청사역 구간, 2007년 4월 17일 정부청사역-반석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2024년 9월에는 대전 도시철도 2호선 착공이 예정되어 있다.[13]
2. 1. 도시철도 건설 계획 수립 (1991년 ~ 1996년)
1991년 대전직할시에서 도시철도 건설 계획이 수립되기 시작하였다.[2] 1996년 2월, 1995년 도시 행정 구역 확장 후 총 102.3km에 달하는 5개 노선의 도시철도 건설 계획이 발표되었다.[2] 대전 도시철도 1호선 건설은 1996년 10월 30일에 착공되었다.[2]2. 2. 1호선 개통 및 운영 (1996년 ~ 현재)
1991년 대전직할시에서 도시철도 건설 계획이 수립되기 시작하였다. 1996년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을 착공하면서 5호선까지 계획했으나, 수요 예측 문제로 3호선까지 검토하는 것으로 수정되었다.대전 도시철도 1호선은 1996년 공사를 시작하여 2006년 3월 16일 판암역-정부청사역 구간을 1차로 개통했고, 2007년 4월 17일 정부청사역-반석역 구간을 2차로 개통하여 운영하고 있다.
1996년 2월, 총 102.3km 길이의 5개 노선 도시철도 건설 계획이 발표되었다. 1호선 건설은 1996년 10월에 시작되어 2003년 완공 예정이었으나, 부지 확보 문제와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로 인한 재정 문제로 완공이 지연되었다.[2]
날짜 | 내용 |
---|---|
1996년 2월 16일 | 기본계획 확정 |
1996년 10월 30일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1차 공사 착공 |
2004년 1월 19일 | 대전광역시도시철도공사 설립기획단 설치 |
2004년 8월 13일 | 대전광역시도시철도공사 설치조례 제정 |
2004년 12월 27일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초도 차량 (101편성) 반입 |
2005년 1월 1일 | 대전광역시도시철도공사 설립 |
2006년 3월 16일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일부(판암~정부청사) 개통 |
2007년 4월 17일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잔여 구간(정부청사~반석) 개통 |
2022년 1월 1일 | 대전광역시도시철도공사를 대전교통공사로 개편 |
2023년 12월 27일 |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계룡~신탄진, 오정~옥천) 구간 착공.[12] |
2024년 1월 1일 | 도시철도 성인 운임, 청소년 보통권 운임 인상 |
2. 3. 2호선 및 광역철도망 확충 (2015년 ~ 현재)
2015년 대전 도시철도 2호선 기본 계획이 수립되었고, 이듬해 도시 지역과 업무 지역에 각각 건설되어 나중에 연결될 두 개의 시범 노선을 포함하는 노선이 발표되었다.[5] 2호선은 노면 전차로 운행될 예정이며, 국립중앙과학관의 자기 부상 열차를 모델로 한 자기 부상 방식으로 건설하는 안도 포함되었다.[4][6]2023년 12월 27일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계룡~신탄진, 오정~옥천) 구간이 착공되었다.[12]
2024년 1월 1일 도시철도 성인 운임, 청소년 보통권 운임이 인상되었다.
2024년 9월 대전 도시철도 2호선이 착공될 예정이다.[13]
3. 노선
현재 운행 중인 노선은 1호선으로, 판암역에서 반석역까지 총 22.7km 구간을 운행하며 22개 역이 있다. 1호선은 유성구의 반석역에서 동구의 판암역까지 이어진다.[2]
1호선은 두 단계에 걸쳐 개통되었다.
2029년에는 반석역에서 정부세종청사까지 연장될 예정이다.[3]
대전 도시철도 2호선은 여러 차례 변경 및 제안을 거쳤으며, 국립중앙과학관의 자기 부상 열차를 모델로 한 자기 부상 방식으로 건설하는 안도 포함되었다.[4] 2015년에는 기본 계획이 수립되었고,[5] 현재 계획 단계에 있으며 2027년에 노면 전차로 개통될 예정이다.[6]
3. 1. 운행 중인 노선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은 판암역에서 반석역까지 운행하는 노선으로, 대전 시내를 동서로 연결한다. 총 길이는 22.7km이며, 22개의 역이 있다.[2]
1호선은 두 단계에 걸쳐 개통되었다.
유성구 반석역에서 동구 판암역까지 이어진다. 2029년에는 반석역에서 정부세종청사까지 연장될 예정이다.[3]
3. 2. 계획 중 또는 공사 중인 노선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은 판암에서 식장산까지 2개 역이 추가로 연장될 예정이다. 대전 도시철도 2호선은 서대전역(본선), 중리역(연축지선), 관저4역(진잠지선)에서 서대전역(본선), 연축역(연축지선), 진잠역(진잠지선)까지 38.8km 구간에 45개 역이 들어설 예정이며, 트램 방식으로 건설된다. 2호선은 여러 차례 계획이 변경되었으며, 국립중앙과학관의 자기 부상 열차를 모델로 한 자기 부상 방식으로 건설하는 안도 포함되었으나[4], 2015년 기본 계획 수립 후 2027년 개통을 목표로 현재 계획 단계에 있다.[5] 2호선은 순환선으로 시내를 일주하는 노면전차로 계획되어 있다.[7]충청권 광역철도는 신탄진역(1단계), 조치원역(2단계), 계룡역(3단계), 오정역(옥천 지선)에서 계룡역(1단계), 신탄진역(2단계), 강경역(3단계), 옥천역(옥천 지선)까지 이어진다.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는 반석에서 청주공항까지 연결될 예정이다.
당초 시내를 남북으로 연결하는 3호선이 계획되었지만, 충청권 광역철도 노선과 겹쳐 사실상 백지화되었다.
4. 운임
어른 기본 운임은 1구간(10km 이하) 1400KRW, 2구간(10km 이상) 1500KRW이다. 교통 카드 이용 시 어른 운임은 1구간(10km 이하) 1250KRW, 2구간(10km 이상) 1350KRW이다.[8]
4. 1. 교통카드
대전광역시에 주민등록이 된 만 70세 이상 노인은 어르신 전용 무임 교통카드를 사용하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일반(만 19세 이상), 청소년(만 13세 이상~만 19세 미만), 어린이(만 6세 이상~만 13세 미만)는 요금이 다르다.[8]구분 | 10km 이내 | 10km 이상 |
---|---|---|
일반(만 19세 이상) | 1550KRW | 1650KRW |
청소년(만 13세 이상~만 19세 미만) | 880KRW | 960KRW |
어린이(만 6세 이상~만 13세 미만) | 550KRW | 600KRW |
4. 2. 일회용 토큰
대전 도시철도의 일회용 토큰 요금은 다음과 같다.[9][10][11]구분 | 요금 |
---|---|
우대권 | 무료 |
보통권 (10km 이내) | 1700KRW |
보통권 (10km 이상) | 1800KRW |
할인권 (10km 이내) | 600KRW |
할인권 (10km 이상) | 650KRW |
4. 3. 환승 할인
환승 할인 제도는 교통카드를 사용하는 사람에게만 적용된다.구분 | 시내버스→도시철도 | 도시철도→시내버스 |
---|---|---|
대인 | 1500KRW→50KRW | 1550KRW→0KRW |
청소년 | 750KRW→0KRW | 880KRW→0KRW |
어린이 | 350KRW→0KRW | 550KRW→0KRW |
구분 | 마을버스→도시철도 | 도시철도→마을버스 |
---|---|---|
대인 | 1350KRW→200KRW | 1550KRW→0KRW |
청소년 | 650KRW→230KRW | 880KRW→0KRW |
어린이 | 300KRW→250KRW | 550KRW→0KRW |
참조
[1]
웹사이트
기타 주요업무 - 대전교통공사
http://www.djet.co.k[...]
[2]
서적
Korea's Railway Development Strategies
https://english.koti[...]
Korean Transport Institute
2017-05-22
[3]
뉴스
대전~세종 광역철도 건설...2029년 완공목표: 반석~정부세종청사 14km 연결...2029년 완공목표, 국가철도망계획 반영 추진
https://www.sedaily.[...]
2019-04-25
[4]
웹사이트
대전도시철도 2호선 자기부상열차 주목
http://www.mcnews.co[...]
2020-09-07
[5]
웹사이트
도시의 틀 바꿀 트램! 시범노선 2020년까지 완공한다
https://www.daejeon.[...]
2020-09-07
[6]
웹사이트
대전도시철도 2호선 트램, 궁금증 풀어드립니다
https://www.cctoday.[...]
2021-06-05
[7]
웹사이트
대전도시철도2호선 트램 1.8㎞ 지하화 추진…‘교통혼잡’ 테미고개 등 구간
http://www.cctoday.c[...]
[8]
웹사이트
대전광역시 대중교통
https://www.daejeon.[...]
[9]
문서
만 65세 이상,장애인,독립유공자,국가유공상이자,5•18 민주화운동 부상자,특수임무부상자,보훈보상대상자 등
[10]
문서
만 13세 이상 만 65세 미만
[11]
문서
만 6세 이상 만 13세 미만
[12]
뉴스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계룡∼신탄진 공사 본격 착수
https://www.newsis.c[...]
뉴시스
[13]
뉴스
대전도시철도 2호선 9월 첫삽…총사업비 1조5천69억원(종합)
https://www.yna.co.k[...]
2024-08-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